방탄소년단(BTS)의 신곡 <permission to dance> 가사에도 명령문이 나온다는 사실. 여러분은 알고 계시나요? 어디에 나오냐구요?
바로 요기!
Just sing along to Elton John
또 요기!
Just dream about that moment
에 나온답니다.
우리 오늘 함께 공부하면 이 노래 <Permission to dance>의 의미를 조금 더 잘 알 수 있을 거예요. 그럼 시작해봅시다!
1. 우리말 속 명령문을 알아봐요.
여러분이 소파에 누워 핸드폰을 하고 있는 주말 오후. 엄마의 기분이 심상치 않습니다. 엄마가 설거지를 멈추고 여러분에게 말합니다.
엄마 : "야, 김해준! 언제까지 그렇게 놀고만 있을 거야?! 이제 들어가서 공부해!" 해준 : "아~ 이따가 할게~!" 엄마 : "핸드폰 그만 해! 자꾸 엄마 화나게 할거야?" |
여러분도 가끔 부모님과 이렇게 투닥거릴 때가 있지요? 여기서 엄마의 말을 살펴볼까요?
"공부해!"
"그만해!"
이렇게 상대가 어떤 행동(상태)을 하라고 이야기하고 있죠? 우리는 이처럼
'~해라'
'~하지 말아라'
'~(한 상태가) 되라'
'~(한 상태가) 되지 말아라'
상대에게 명령( +제안, 조언, 격려, 덕담)을 하고 싶을 때 명령문을 쓴답니다.

2. 명령문의 형태
명령문의 형태는 이것만 기억하세요.
긍정문(~해라/~되라)일 때 : 동사원형 부정문(~하지 말아라/ ~되지 말아라)일 때 : Don't + 동사원형 |
한번 영작해 볼까요?
Q1. 이리와!
Q2. 조용히 해! (quiet : 조용한)
Q3. 걱정하지 마!
Q4. 쑥쓰러워하지 마! (shy : 쑥쓰러워 하는)
아래 정답을 보지 말고 혼자 먼저 영작을 해보세요. 그 다음에 우리 같이 정답을 확인해야 진짜 내 실력이 된답니다.
그럼 여러분들이 다 잘 했을 거라고 생각하고 정답을 함께 맞춰보도록 할게요. 그 전에 명령문의 형태 한 번만 눈으로 복습하고 바로 정답 맞춰봅시다.
긍정문(~해라/~되라)일 때 : 동사원형 부정문(~하지 말아라/ ~되지 말아라)일 때 : Don't + 동사원형 |
Q1. 이리와!

명령문 중 긍정문일 때군요. 이때는 동사원형(동사의 기본형태)을 문장의 맨 처음에 쓰면 된다고 했죠?
오다 : come
여기로 : here
그러니 정답은
A1. Come here.
이 되겠네요.
Q2. 조용히 해!

조용히 해는 어떻게 영작할까요? 위에 문제보다 조금 어렵죠? 이럴 때는 You를 넣은 문장을 하나 먼저 떠올려보면 더 쉬워질 때가 많아요. 결국 명령은 내 앞에 있는 상대. 즉 You에게 하는 말이니까요.
You are quiet "너는 조용하다"
이런 문장 하나를 만들어봐요. 그리고 명령문 만드는 공식을 적용해봅시다.
You are quiet 여기서 You는 없어져야겠죠? 그럼
are quiet 이렇게 남네요? 뭔가 이상하죠? 명령문은 동사원형이 문장 제일 먼저 온다고 했는데 말이죠.
아직 여러분들에게 어려울 수도 있는 개념인데요, 여기서 잠깐만 설명하고 갈게요. 혹시 지금 이해 못 했다고 해도 괜찮아요. 다음 번에 이해하면 되거든요. 영어라는 게 그렇게 외우고 까먹고, 지나치고 나중에 또 이해하고의 연속이니까 걱정하지 마세요.
아무튼 흠흠.
am / are / is 의 동사원형은 be 이다. |
이렇게 외워주면 좋아요.
am / are / is를 be동사라고 하는 것도 알고 있으면 이해하기 편하겠지만, 아니어도 아무 상관이 없답니다.
그럼 마무리해볼게요.
are quiet
아까 이렇게 남았으니까 동사원형으로 바꾸어줘야겠죠?
are의 동사원형은 be라고 했으니까 be로 바꿔줄게요.
be quiet!
그런데 여기서 끝이 아니랍니다. 왜인지 알겠어요?
.....
맞아요. 문장을 시작하는 알파벳은 대문자를 써주잖아요. 그래서
Be quiet!
이렇게 써주면 왼성입니다.
Q3. 걱정하지 마!

우리 부정문은 더 간단히 할 수 있을 거예요. 왜냐구요? 긍정문의 명령문을 만들어준 뒤에 Do not이나 Don't만 앞에 붙여주면 되거든요.
그럼 우선 "걱정해!" 부터 만들어야겠네요.
걱정하다 : worry
는 다들 알죠?
그럼 "걱정해"는
Worry!
이렇게 쓰면 되겠네요?
"걱정하지 마!" 는 앞에 Do나 Do not만 붙이면 되니까 한 번 해보죠!
Do not worry! 또는 Don't worry! |
라고 쓰면 끝입니다.
Q4. 쑥쓰러워하지 마! (shy : 쑥쓰러워 하는)

이제 여기까지 왔네요. 수고 많았어요, 여러분. 이젠 혼자할 수 있을까요? 여러분이 쓴 답과 맞는 지 나와 함께 확인해봐요.
shy는 동사가 아니라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예요. 그러니까
Shy!
이런 식으로 쓸 수가 없어요. 그럼 어쩌죠....? 아까 내가 했던 말 기억나나요? 명령문이 잘 안만들어지면 앞에 먼저 You를 붙여보라고 했었는데.. 기억나죠?
그럼 한번 붙여서 문장을 만들어봅시다.
You are shy.
아하! are가 들어가는 문장이군요. 그리고 am / are / is 의 동사원형은 뭐였죠?
네 맞아요. be 였죠. 이게 명령문을 만들 수 있겠네요.
긍정문으로 먼저 만들어보고,
be shy
앞에 Do not이나 Don't을 붙이면 되겠죠? (* be 동사 앞에서는 Do not은 쓰지 않고 Don't만 쓴답니다.)
그래서 답은?
Don't be shy 입니다.
여러분.
오늘은 나와 함께 명령문의 기초를 같이 공부해 보았어요. 할만 했나요? 아니면 조금 지루하거나 어려웠나요? 앞으로 차근차근 실력을 쌓아나가면 분명 여러분 실력이 훌쩍 늘어있을 거니까 나와 함께 즐겁게 영어 공부해요. 알겠죠?
다음 시간에는 명령문을 조금 더 깊이 있게 공부해봐요. 그럼 다음에 만나요 ~~
아차차차!!
이제 방탄 노래 속 명령문도 혼자 해석할 수 있겠죠? 이건 숙제예요. 다들 파이팅!
Sing along to Elton John
* sing along to ~ : ~를 따라 노래하다.
Dream about that moment
'영어지식인 > 영문법 점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 ~ing 제대로 쓰는 법, 이젠 헷갈릴 일 없어요! (feat. go watching은 왜 틀릴까?) (1) | 2025.02.16 |
---|---|
Because와 Because of의 차이 명확하게 이해하는 법 (0) | 2023.02.12 |
영어 1인칭 2인칭 3인칭 쉽고 정확하게 이해하는 법 (0) | 2023.02.11 |
댓글